본문 바로가기

2017.01.17 (금)

 

예전에 어디서 보고 적은 책에 대한 메모를 써보자면 

한분야의 전문가 수준에 이르려면 100권정도 읽어야 하며, 

문사철 600이라는 말이 있는데 문학 300권, 역사 200권, 철학 100권을 말한다. 

 

문과 학부졸업 수준으로 총 150권에서 200권 사이의 독서량이 필요한데

전공 기본서 30~40권, 꼼꼼히 읽어야 하는 책은 50~100권, 개념 파악 수준으로 50 ~ 100권을 읽어야 한다.

 

이공계 기본서는 40~50권 수준의 독서량이 필요하다. 

 

2003년부터 책을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하였는데 과연 어느 정도 읽었는지 정리를 하고 있는 중이다. 

 

 

 

2017.01.22 (일) -  2014년도까지 기록을 1차 정리중

2017.01.26 (목) -  2016년 까지 기록 정리

2023.01.12 (목) -  2020년 까지 기록 정리 

2023.01.14 (토) - 2022년 까지 기록 정리 

 

 

(2003년 ~ 2022년)

문학 423권 - https://seesawgame.tistory.com/61

역사 220권 - https://seesawgame.tistory.com/29 (역사 184권) + https://seesawgame.tistory.com/42 (지리 36권)

철학 94권 - https://seesawgame.tistory.com/31 (철학 60권)  +  https://seesawgame.tistory.com/43 (심리 34권)

 


네이버에서 기록하고 있는 내용

2022년 기준

- 문학 423권 목표 초과, 역사 196권, 철학 94권

- 앞으로 역사 4권, 철학 6권 이면 목표 달성

https://blog.naver.com/ahnhanchul/222971567227

 

2022 문사철 600권 읽기 (713권 읽음)

2022년 기준 - 문학 423권 목표 초과, 역사 196권, 철학 94권 - 앞으로 역사 4권, 철학 6권 이면 목표 달성...

blog.naver.com